반응형
길거리에 많은 차들 중에 수입차가 많이 보이는 요즘도 없는듯합니다. 전기차도 많이 늘어서 반드시 휘발유나 디젤이 들어가는 것은 아니지만 예전부터 이런 공식이 있었죠. 수입차는 고급휘발유를 넣어야 한다라는 것 말이죠. 하지만 전문가들은 꼭 그럴 필요까지는 없다고 하는데
고급휘발유의 기준
일반 휘발유보다 좋아서 고급휘발유일까요? 아니죠 바로 옥탄가라는 것이 높아서 고급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. RON Research Octane Number로 옥탄 숫자를 말하는데요. 일반은 RON 91~94, 고급은 RON 94 이상을 말하는데요. 단순히 고급이라고 하여 일반 휘발유에 비해 월등히 성능이나 구성물질이 좋은 것은 아닙니다.
옥탄 Octane 이란
옥탄이란 휘발유의 특성중 발화가 낮다는 것에서 정확히 발화해야 할 타이밍에 휘발유가 발화를 지연시키는 첨가물질이라고 하는데 고성능 차량에 서는 높은 압력이 요구되는데 일반 휘발유를 사용한다면 엔진 내부에 스파크가 일어나기도 전에 발화하는 일이 발생해 차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합니다.
고급휘발유를 넣으면 성능이 좋아진다
시험기관에서 실험한 결과 가속성과 출력은 좋아질수 있지만 가격 성능 대비 연비나 기타 효과가 좋은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. 그렇다면 일반 차량이 넣을 이유는 없겠죠?
수입차는 꼭 고급휘발유를 넣어야 하나
수입차라고 꼭 넣어야 하는것은 아닌데요. 엔진이 무엇이냐에 따라 제조사에서 기준 잡은 휘발유를 넣어야 하는데요. 고급을 넣으라면 넣어야겠지요. 안 넣어도 아주 큰 문제가 일어나는 것은 아니지만 노킹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하니 제조사의 설명에 따르는 것이 좋겠지요?
반응형
댓글